한국민속촌은 2024년 새해를 맞아 '甲辰(갑진) 새해가 왔어용' 세시행사를 2월 9일부터 25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청룡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체험과 정월대보름의 전통 풍습을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한국민속촌에서는 '청룡도 세화찍기'라는 특별 전시체험을 진행한다. 이 체험은 청룡이 그려진 목판에 세화를 찍어 소장하는 특별한 체험으로, 체험한 관람객에게는 신년 사주풀이 1회권을 무료로 제공한다. 또한, '용알뽑기'라는 변형된 세시풍속 용알뜨기 체험도 진행되며, 설날행사 체험권부터 한국민속촌 공예품까지 푸짐한 경품이 준비되어 있다. 청룡도 세화찍기와 용알뽑기 체험은 각각 3000원의 가격으로 제공된다. 또한, '일월, 감성맞이' 전시도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설날, 정월, 대보름의 아름다움과 전통적인 풍습을 담아 민속마을 4호 앞에서 진행된다. 지신밟기, 쥐불놀이 등을 영상으로 표현하여 관람객들에게 우리 전통 풍습을 실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울릉도 공터에서는 대형 연 포토존과 연날리기 체험 공간이 마련되었다. 관람객들은 소원을 담은 연을 만들고 넓은 공터에서
글로벌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최근 발표한 리포트에 따르면, 틱톡(TikTok)은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환경에서 급성장한 수익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에 따라 틱톡은 기존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들과의 경쟁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탐구하고 있다. 수익성이 높은 광고 사업과 인앱 구매를 통해 상당한 수익을 창출하는 틱톡은 주목할 만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성장 속도가 느린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해갔다. 반면 유튜브(YouTube)는 인앱 구매를 통한 수익성이 급증하였다. 이러한 대조적인 현상은 경기 변동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젊은 사용자의 비율이 유튜브에서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전년 하반기부터 전세계적으로 경제 위기가 증가함에 따라 2023년 첫 4개월 동안 틱톡의 매출도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러한 위기는 주로 젊은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틱톡 사용자층에 영항을 줬다고 분석되고 있다. 2023년 첫 4개월 동안 'TikTok'의 수익은 10% 증가하는 데 그쳤는데,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