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10일(현지시각) 개발자 컨퍼런스 '구글 I/O 23'에서 대화형 AI '바드(Bard)'의 한국어 버전을 전격 공개했다. 이번 발표로 한국은 바드가 가장 먼저 서비스되는 국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쇼라인 엠피씨어터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는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 '팜2(PaLM)'를 탑재한 바드는 과학과 수학 분야의 광범위한 교육을 통해 논리와 추론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씨씨 샤오 구글 어시스턴트 사업부 총괄은 "100개 이상의 다국어 텍스트 교육을 받은 팜2를 통해 180개 국가와 지역에 바드를 전면 개방하며, 그 중 한국어와 일본어를 가장 먼저 지원한다"고 밝혔다. 피차이 CEO는 발표에서 서울에 있는 동료와 함께 한국어로 된 설명을 추가해 코드 디버깅 작업을 하는 예시를 직접 시연하며 바드의 한국어 지원 능력을 선보였다. 이는 한국 사용자들에게 바드가 실제 업무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인상적인 장면이었다. 한편, 바드는 스프레드시트 기능과 20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습득해 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챗GPT와 같은 자연어처리 모델의 등장은 우리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우리와 대화하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우리에게 친근하게 다가와 있습니다. 그렇다면 챗GPT와 친구가 되어야 하는 세상은 어떨까요? 이번 칼럼을 통해 함께 생각해보았으면 합니다. 우선, 챗GPT와 친구가 된다는 것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편안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챗GPT에게 '오늘 날씨는 어때?' 라고 물으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해주고 그에 따른 질문자가 원하는 답을 추천해줄 수 있습니다. 챗GPT가 우리의 행동패턴과 관심사를 학습하고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와 피드백을 제공해준다면 우리는 일상에서 편리함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챗GPT와의 대화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챗GPT에게 궁금한 점이나 질문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챗GPT는 우리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괄적으로 제공할뿐 아니라, 우리가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서도 더 깊이있는 내용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께 대화하며 지식을 공유하면 우리의 관점과 인식이 넓어지고, 세상을